소개
한국 영화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세계에서 히말라야(2015)처럼 모험, 희생, 감정의 깊이의 진정한 본질을 포착한 영화는 거의 없었다. 이석훈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두려움 없는 정신과 깊은 충성심으로 유명한 한국의 전설적인 산악인 엄홍길의 끔찍하면서도 감동적인 여정을 기록한다. 히말라야는 단순한 모험 영화가 아니라 함께 목숨을 걸고 등반하는 등반가들 사이에 맺어진 유대감과 압도적인 역경에 직면했을 때에도 감히 꿈을 꾸고 행동하는 변함없는 인간 정신에 진심으로 경의를 표하는 작품이다. 한국의 가장 존경받는 산악인 '엄홍길'대장의 실제 이야기를 기록한 영화이기도 하다. 세계 최대 16,000m 높이의 봉우리 중 16,000m 이상 상승한 높이까지 올라갔지만, 그의 유골의 유산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이 영화는 그의 신뢰할 수 있는 팀 중 하나인 히말라야를 잃었고, 박무택은 위험한 임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이야기는, 우정, 친구들, 친구 간의 감정적 복잡성, 그리고 극단적인 상황에서 진정한 팀원들의 의리를 볼 수 있는 영화이다. 죽음을 앞두고 팀원들의 생사에 대한 모습들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놀라운 영화이다.
히말라야에 대한 촬영과 연기
히말라야 산맥의 무서움과 위험함은 모두가 알고있다. 그 두려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여러 세트장과 CGI를 이용하여 실제와 같은 장면을 만들 수 있었다. 일반인들은 가보지 못하는 곳이기 때문에 촬영에 더욱 신경을 쓰고 보는 관객들에게 그 느낌을 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등반가들이 느낄 수 있는 공포감을 같이 느낄 수 있고 그에 대한 슬픔까지도 같이 느낄 수 있다. 영화 촬영은 눈에 띄는 위험을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 배우들이 많은 감정들을 연기했다.넓은 공중샷은 산들의 환경을 보여줌으로써 산들의 취약성을 강조하며 자연에 대한 웅장함과 위대함을 강조한다. 극 중 팀원들은 눈사태, 극단적 위험, 산소 부족과 같은 물리적인 위험도 생생하게 인지하고 사망 위험을 감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산을 정복하기 위한 마음을 영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담아냈다. 히말라야는 산이 어떤 곳인지에 대해 그 위험성과 무서움을 알려주면서 , 그곳을 등반하는 등반가들의 정복을 위한 목표의식을 카메라에 정확하게 담아냈다.
황정민 배우와 정우배우, 다른 조연들의 연기로 인한 영화분위기
히말라야 등산객들은 팀원들의 가족과 같은 의미이며 삶과 죽음을 직면하는 가족이다. 그들은 함께 앞으로 있을 힘든 과정과 연습을 함께 하면서 오직 등반을 목표로 같이 훈련하고 지내고 있다. 엄홍길 대장은 팀원들과 함께 히말라야를 등반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의 부상과 죽음은 산이 허락하지 않아 모든 걸 막지는 못한다. 그 과정에서 사람은 산에 비해 너무 작은 존재이며 자연이라는 모습 앞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걸 많이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말라야를 정복하겠다는 마음 하나로 모든 팀원들은 도전을 한다. 히말라야의 감정적인 무계를 책임지는 황정민 배우는 엄홍길 대장의 느낌과 분위기를 잘 이끌어 냄으로써 영화를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배우이다. 황정민 배우의 연기는 엄홍길 대장의 묘사를 강렬하고 깊은 모습으로 표현하며 리더가 되는 갈등과 모든 책임 , 그 책임에 대한 결과와 고통을 자세하게 전달한다. 박무택 대원을 연기하는 정우는 황정민 배우와 달리 따뜻하고 유머러스한 연기를 선보였다. 막내 대원으로써 귀여움과 활발한 모습으로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따뜻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했다. 그들의 상호작용하는 모습으로 히말라야 하는 산이 가져다주는 무거운 분위기를 한층 낮게 만들어 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조연들도 없으면 안 되는 캐릭터들을 보여주면서 영화의 완성도를 높였다.
히말라야의 간접체험
히말라야의 스토리지는 히말라야의 정서적 여정을 완벽하게 균형 잡고 있다. 이석훈 감독은 등산객들과 관객들의 느낌을 동기화하는데 노력한다. 일반적으로 히말라야 하는 산에 등반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고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등산객들이 탐험을 준비하는 장면, 식사 준비, 훈련, 가벼운 농담과 같은 내용들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다. 영화에서는 히말라야의 등반을 하면서 위험에 직면하는 순간과 그 위험들을 헤쳐나가는 모습들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비록 자신들의 목표인 히말라야 등반을 위한 내용이지만 , 정상에 대한민국이라는 국기를 새김으로써 대한민국에 대한 애정과 애국식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보는 관객들도 애국심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했다. 영화 내용에는 전문가들이 어떻게 등반을 하는가에 대해서 생소한 모습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그 모습들을 보는 재미가 있다. 일반사람들은 주변 산을 등반하는 것에는 부담이 없겠디만 히말라야 같은 엄청난 높이에 산을 등반할때 각종 훈련과 장비들 , 위험한 상황에서의 대처등 해야할것이 너무 많이 때문에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새로움을 느낄수 있는 영화이다.
결론
히말라야는 위대하고 위험한 도전과 같다. 히말라야같은 자연에 비하면 인간은 그저 작은 생물에 불과하기 때문에 도전 자체만으로도 아주 큰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엄홍길'대장은 히말라야에서 결국 사망한 '박무택'대원을 다시 찾아가기 위해 다시 등반을 하게 된다. 아주 위험한 등반인걸 알지만 모든 걸 같이 해온 동료를 그 자리에 둘 수 없기 때문에 다시 등반함으로써 '박무택'대원에 대한 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저 산에 올라가는 행위로만 표현한 것이 아닌 그들에게는 인생에 가장 큰 목표이자 살아가게 만드는 원동력인 것이다. 놀라운 영화 촬영과 실제 일어난 일이었기에 자세하고 섬세한 스토리텔링으로 인해 많은 관객들은 영화를 보는 내내 히말라야의 위험성과 그 산을 등반하는 대원들의 고된 모습을 보며 대단함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단순하게 산을 등반을 하는 영화가 아닌 모두에게 감명을 주는 영화이고 , 그 모습을 촬영하고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고단함을 보는 이로 하여금 다시 느낄수 있게 제작되었다. 주제는 히말라야였지만 각자의 자기만의 목표를 히말라야 등반처럼 준비하고 이겨내고 대처하는 삶을 살아가길 기대해 본다.